2편에 이어서 하겠습니다. 2편 마지막에 생성자함수.prototype = A 를 하면 앞으로 그 생성자 함수로 만들어지는 모든 객체(인스턴스)는 프로토타입으로 A를 가진다고 했었죠? 오늘은 그 점은 코드로 다시 봅시다. const person = { talking(){ console.log(`Hello I'm ${this.name}`); } }; function Nicolas() { this.name = 'nicolas' } Nicolas.prototype = person;// 생성자함수의 prototype 프로퍼티에 person을 넣습니다. let nico = new Nicolas(); nico.talking(); // Hello I'm nocolas 여러분이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1. 자바스크..
프로토타입1 글은 개념위주로 적었고 이번에는 코드를 좀 봅시다. 1. 연속 상속 ( = 채인닝 상속) const A = { name : 'A', old : '10', say(){ console.log(`Hello, I am A`); } } const B = { name : 'B', old : '11', say() { console.log(`Hello, I am ${this.name}` ) }, __proto__ : A, } const C = { name : 'C', old : '12', __proto__: B, location : "seoul", } // 다음과 같이 호출하면 각각 뭐가 콘솔로 찍힐까요? A.say(); B.say(); C.say(); 한글 순서대로 "Hello, I am A" "Hell..

1. 프로토타입이란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모든 객체에, 혹은 사용자가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Prototype 프로퍼티를 심어 넣습니다. 그리고 이 프로퍼티는 숨겨진 프로퍼티이므로, 함부로 접근할 수 없고, 특정 함수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프로퍼티란 자바에서의 멤버필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한글로 설명할 시에는 '속성'이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살짝 햇갈리는 것이 있습니다. 정확히 무엇을 프로토타입으로 지칭하는가? 저는 두 가지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단순하게, 위 1번에서 설명했듯이 어떤 객체에나 있는 Prototype 프로퍼티를 프로토타입이라고 하는 겁니다. (사실 첫 번째나 두 번째 의미나 둘 다 이해하시면, 결국 같은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

1. 콜백이란? 비동기 코딩 시 순서를 지키기 위하여 함수 안에 함수를 파라미터를 넣어서 쓰는 방식을 콜백 함수라고 한다. 라고만 대충 알면 그 뒤의 심오한 뜻을 알지 못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콜백함수를 익명 함수의 관점으로 바라볼 때 어떤 의미가 있는가?입니다. 2. 콜백을 진지하게 다시 봅시다. 콜백을 진지하게 보기 전에, 프로미스 함수에 대해서 잠깐 알고 갑시다. 왜냐면 제가 이 프로미스 함수를 예시로 콜백 함수를 설명할 건데 그전에 프로미스 함수에 대해서 함수 스타일을 알고 가야 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제 블로그에 프로미스에 대한 글도 있으니 궁금하시면 보세요.) 일단 그냥 프로미스 함수를 적으면 이렇게 나옵니다. const promise = new Promise( (reso..

1. 우선 Promise 는 ES6 에서 새롭게 추가된 내장 객체입니다. 2. 이 객체가 무엇을 하는 객체냐? >> 어떤 일을 하되, 비동기적으로 해야할 경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객체입니다. 3. 예를 들어 비동기 통신을 할 경우, 콜백함수로 순서를 지키고자 합니다. 그러다가 콜백지옥 현상이 나타나게되죠? 이런 콜백 지옥 현상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게 Promise 객체의 역할입니다. 한마디로 편리한 비동기 코딩을 위해 제공된것 입니다. 기본 사용법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프로미스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내장 콜백함수도 같이 써줘야 합니다. // (resolve, reject) => { 이 안에다가 할 일 작성 } // 여..
객체 리터럴이란? 객체를 정의하는 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1. new 키워드로 생성자 함수로 객체 생성. 2. 객체 리터럴로 직접 객체의 속성과 값을 문자로 적는 것. 여기서 객체 리터럴이란? // 객체리터럴 const obj = { prop1 : "첫번째 속성값", prop2 : "두번째 속성값", prop3 : "세번째 속성값", } 위와 같이 객체를 정의할 때 직접 속성명과 속성값을 하나하나 문자로 적어서 객체를 정의하는 것이 객체 리터럴 방식입니다. ES6에서는 이 객체 리터럴이 좀 더 편한게 향상된 것이 있다고 해서 "향상된 객체리터럴"으로 자주 설명되곤 합니다. 지금 부터 그 향상된 객체리터럴 표기법을 알아봅시다. 크게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1. 속성명과 속성값의 변수명이 같다면, 하나..

함수를 정의할때는 화살표함수를 사용할 수 없음. 화살표식 표현법은 익명함수나 콜백함수로 사용할 때만 사용가능. (익명함수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나중에 초급 카테고리에 포스팅하겠습니다.) 생략된 것들 1. function 키워드 2. {} 생략 가능 (한줄일때만) 3. return 키워드 생략가능 (한줄일때만) 정확히 말하자면, 화살표함수를 한줄로 표현하게되면 => 다음에 return 키워드가 암묵적으로 무조건 들어가 있음. 4. 위의 코드에서는 나오지 않는데, 파라미터가 한개라면 가로()도 생략 가능. 파라미터가 2개 이상이라면 가로를 써줘야합니다. (value1, value2) => {함수내용} 이런식으로.. 화살표함수의 진면목은 콜백함수를 쓸 때 입니다. (콜백함수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나중에 초급 ..
1. 생성자 함수와 인스턴스 1. 생성자 함수 :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이다. function SomeObj(name, kind) { this.name = name; // 변수 정의 this.kind = kind; this.someFunction = function() { // 함수 정의 alert(this.name + this.kind) }; };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런식으로 객체를 생성한다. 이제 이 SomeObj함수를 사용하면 객체를 만들 수 있다. 2. 인스턴스 : 정의되어 있는 클래스를 실제 사용하기 위해 new연산자를 통해 메모리상에 객체를 구현한 것 1. var obj = new SomeObj('abc', 'killer') 라고 하면 위에서 정의한 클래스를 토대로 메모리상에 obj라는 객..
식별자 : 수 많은 데이터 중에 딱 하나를 선택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것과는 구별하게 해주는 무엇. 무엇에는 간단하게는 변수명이 들어갈 수 있고, 크게는 어떤 수단이나 방법론이 들어 갈 수도 있다. 변수 : 데이터를 담는 공간 혹은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 여기서 데이터는 객체일 수도 있고, 숫자형 데이터일 수도 있고,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변수와 식별자 : 문맥에 따라 둘의 의미가 같을 수도 있다. 만약 구별해야 한다면 이렇게 이해하면 된다. 예시) var a; //변수 선언만하고 값은 할당하지 않음 따라서 값이 Undefined로 나옴 //여기서 굳이 변수와 식별자를 구분해서 설명하자면, 변수(아직 어떤 데이터인지는 모름)를 선언했고, 수 많은 변수 중에서 이 변수를 선택할 수..
자바스크립트를 초반에 배울 때는 참조형 데이터는 메모리 주소값이 저장되고, 기본형 데이터는 값이 직접 저장된다고 배우지만 사실은 다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모든 데이터는 참조형 데이터처럼 주소값이 저장된다. var a = 0 1. 메모리 어딘가에 0이란 데이터가 있는 먼저, 찾아본다. 그리고 어디에도 0이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0이란 데이터를 임의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고 해당 메모리 주소값을 기억한다. 2. a라는 식별자를 어떤 임의의 메모리 공간에 “이름표”로써 저장한다 (나중에 컴퓨터가 a를 찾게되면 이름이a인 이 메모리 공간으로 오게된다.) 3. 그리고 a라는 이름을 가진 메모리 공간의 값으로 1번에서 기억했던 메모리 주소값을 저장한다. 4. 이렇게 a의 공간의 값에 바로 0이 저장되는게..
- Total
- Today
- Yesterday
- Early Anti-Aging
- 미래 시제
- 락키 포인트
- 캐나다에서 살기
- 밴쿠버 호수
- 익명함수
- 러스트 #
- 연관 함수
- 밴쿠버 오리
- 코퀴틀람 공원
- 리액트 CSS
- 밴쿠버 관장
- 러스트
- 변화성
- 의존절
- MundyPark
- 얼리 안티-에이징
- 변화성부여
- had been p.p
- 문디공원
- Prototype
- 소유 동사
- 콜백함수
- 마그테인
- 기초추상개념들
- 맥북에어8기가
- BC Hydro
- 생성자함수
- 필요없는 이유
- 짧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