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니나님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니나님 유튜브 링크 : have, get, take 관련영상은 : www.youtube.com/watch?v=KptzZzq_swI&list=PLH9B8dG_2yCZHPMqgoPAt9d8uItgc1Be2&index=4

 

 

가정법 관련 링크주소는 여기입니다 : www.youtube.com/watch?v=HDVS8y4G0hk&list=PLH9B8dG_2yCZHPMqgoPAt9d8uItgc1Be2&index=6

 

이분은 제가 우연히 유튜브를 탐방하다가 찾게된 채널인데, 진짜 캐나다에서 거주하시는 현지인인데다가, 가서 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들을 만들고 올리시는 분입니다.

 

have, get, take 에 대해서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공통점으로는 다 소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느낌과 사용처가 확연히 다릅니다.

 

Have : 제인 낮은 소유의 강도이고 달리 말해서 자기의 의지나 선택이 아닌 '상태'를 표현할 때 입니다.

예를 들어

I have a cold : 자기 의지대로 선택해서 감기에 걸린 사람은 없죠?
I have a job : 이 표현은 나 직업이 있다. 입니다. (=백수가 아니다.)

I have a son : 나 아들이 있는 사람이다. (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죠 난 자식이 있는 사람이다. )

 

 

Get : 획득하다, 얻다, 노력을 해서 취한 것입니다. 다만 온전히 나의 영향력만으로 취한게 아닌, 누구의 지시나 허락, 및 인정을 통해 얻게 되는 것들입니다.

예를 들어

I got a A on the test! : 자기 의지대로 열심히 공부를 해서 A를 받았지만, 어쨋든 그 점수는 교수님이 '인정'하에 받는 것이죠.

I got a pen VS I have a pen : get을 쓴 표현은 방금까지는 없었는데 순간적으로 펜을 주웠거나, 누구한테서 빌려왔다의 표현입니다.

반면, have를 사용한 표현은 처음부터 난 펜을 가지고 있었다 즉 펜을 들고 다니는 상태인 겁니다.

 

 

 

Take : 취하다, 택하다. 제일 높은 소유의 강도입니다. 온전히 나의 영향력으로 선택하거나, 취한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took the job : 여러개의 오퍼가 들어왔는데, 그 중에서 하나만 선택했다의 의미입니다.

I'll take this one : 쇼핑몰에 가거나 할 때 어떤 물건 중에서 하나를 고를 때 쓰는 표현입니다. 내가 사는 물건에 자신 외에 영향력이 들어가지는 않겠죠?

I'll take a walk : 걸어서 갈래 입니다. 우리가 걸어서 가든 차를 타든 그것은 온전히 나의 선택입니다.

 

 

다음은 가정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정법은

1) 가정법 과거

2) 가정법 과거 완료

3) 가정법 현재

4) 가정법 미래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또한 문장의 구조가 2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건절" + "주절" 입니다.

대체로 조건절에서 어떤 가정을 한 뒤에, 주절에서 현재와는 다른 결과임을 말합니다. 흔히 말하는 ~했었다면, ~일텐데 구조입니다.

 

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일 경우를 가정하는 경우입니다.

(If + 주어 + 과거 동사) + (주어 + 과거 조동사 + 동사원형)

If it weren't raining, we would go on picnic. : 만약 비가 안왔었다면, (지금)우린 피크닉을 갈텐데

If i studied more, I would get better grades. : 만약 공부를 더 했더라면, (지금)더 좋은 점수를 받았을 텐데

 

2) 가정법 과거 완료

과거 사실을 반대로 가정하는 경우 만약~했엇다면, 했었을텐데 조건절은 대과거이며, 주절은 현재완료 시제입니다.

(If + 주어 + had pp), (주어 + 과거 조동사 + have pp)

If it hadn't rained, we would have gone on a picnic : 만약 비가 오지 않았다면(대과거), 우린 피크닉에 갔었겠지(현재완료)

(주절 시제를 보면, 이미 다 지나간 일이라, 지금은 뭐 어찔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가정법 과거는 최소한 비가 오더라도 비를 맞고 그냥 가는 선택을 화자가 내린다면, 현재 그럴 수 있는 시제 상황인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법 과거 완료는 이미 다 그 시점이 지난 이후에, 말을 꺼내는 것이므로, 화자가 어찌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3) 가정법 현재

현재 상황을 가정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표현입니다. 다만 조건절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쓰입니다.

만약 ~한다면, ~할 것이다. 로 해석됩니다.

(If + 주어 +  현재형 동사), (주어 + will + 동사원형)

If she leaves now, I will get very angry.

(즉 위의 화자의 상황은 그녀가 떠날 확률이 높은 상황입니다.)

 

4) 가정법 미래

조건절이 일어나기 힘든 상황에서, 대체적으로 아쉬움과 같이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f + 주어 + should + 동사원형), (주어 + 조동사 + 동사원형)

(If + 주어 + would + 동사원형), (주어 + 조동사 + 동사원형) : 조건절에서 should 대신 would도 쓰입니다.

If I should become a singer, I would be very famous. : 내가 가수였다면, 진짜 인기 많았을거야.

(조건절에서 일어나기 힘든 가정을 합니다. 여기서 화자는 가수가 아니고, 가수가 될 의지나 계획도 없을 가능성이 큼니다.)

If I would meet her again, I would be happy. : 내가 그녀를 다시 만날 수만 있다면, 정말 행복할꺼야.

 

 

 

*혹시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로 적어주세요~ 아마 니나님 영상이 틀린게 아니라, 제가 잘 못 보거나, 이해했을 경우일겁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