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메타마스크란?
2. 메타마스크 설치법
3. 메타마스크 사용법
4. 주의사항
1. 메타 마스크란?(MetaMask)
먼저 개인용 지갑의 개념을 아셔야 합니다. 메타마스크가 개인용 코인 지갑 이니깐요.
코인 지갑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거래소 지갑
2) 개인 지갑
그리고 개인 지갑에도 종류가 2가지 있습니다.
1) 인터넷 지갑: 메타마스크 처럼 브라우저상에서 확장프로그램을 통해 코인을 보관합니다. 초기에 만들 때, 복구 문구를 평생 잘 보관하셔야 합니다. 여러 회사들이 지원을 하고 있으며 그중에서 메타마스크가 가장 유명하고 안전합니다.
2) 물리 지갑: usb로 되어 있는 실제 물리적인 지갑입니다. 유명한 브랜드로는 렛져가 있고, 직접 구매하셔야 합니다. 안전성은 가장 최고 지만 이 usb를 분실할 시 영영 못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크롬 웹 스토어에 가시면 있습니다. 꼭 정식으로 운영되는 회사에서 배포한 프로그램인지 확인하고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metamask/nkbihfbeogaeaoehlefnkodbefgpgknn?hl=ko
MetaMask
브라우저의 이더리움 지갑
chrome.google.com
2. 메타마스크 설치법
우선 위의 웹스토어 가셔서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합니다.
그다음에 계정을 만들고 계정을 만들면서 이상한 문구들을 복사하거나 종이에 적으라는 문구가 뜰 겁니다. 그럼 그렇게 꼭 이행하시면 됩니다. 이 복구 문구는 새로운 컴퓨터에서, 새로운 브라우저에서 자기 메타마스크 지갑을 다시 불러오기 위해 필요하기도 하고, 비밀번호를 잊어 먹었을 때 다시 초기화시킬 때도 쓰입니다. 따라서 지갑 비밀번호보다 더 중요한 문구이니, 귀찮더라도 반드시 종이에 적어서 안전한 곳에 보관하시길 바랍니다. 이 문구를 다른 사람에게 주면, 그 사람에게 지갑의 모든 것을 주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그러니 오직! 본인만 알고 있어야 합니다.
3. 메타마스크 사용법
드디어 사용법 이군요. 사용법은 조금 내용이 깁니다.
우선 크게 4가지 개념에 대해서 아셔야 합니다.
1) 지갑 주소
2) 계정 추가
3) 네트워크
4) 토큰(=코인)
천천히 순서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지갑 주소
밑에 사진을 봐주세요.
상단 부근 메쉬스왑 밑에 모자이크 처리된 부분 보이시죠? 저게 지갑 주소입니다.
예시로 보여드리자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0123xc435e5e7dfA349C4d42917fE0534GyD94HD2100
지갑 주소는 상대방에게 알려주셔도 됩니다. 왜냐면 지갑 주소를 알아야 상대가 나에게 코인을 보내줄 수 있거든요. 보안상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유 없이 본인의 지갑 주소를 뿌리고 다니거나 공개하고 다니지는 마세요. 또한 저걸 일이이 받아 쓸려고 하지 말고 반드시 복사/붙여 넣기를 통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 계정 추가
우선 메타마스크 지갑을 눌러보세요.
아래 사진처럼 나올 것입니다. 여기에서 Polygon Mainnet 오른쪽에 동그라미 그림을 누르면 계정이 뜹니다.
거기에서 계정 생성을 누르시면 메타마스크 안에 지갑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이 됩니다. 그러니깐 메타마스크 하나당 1개의 지갑이 생성되는게 아니라, 메타마스크 안에서 얼마든지 여러 개의 지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새로운 계정 1 = 새로운 지갑 1 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지갑을 여러 개 만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보안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개를 만들어서 하는 것이 훨씬 더 좋겠죠.
3) 네트워크
위에 사진에서 Polygon Mainnet 이란 네트워크 이름입니다. 이 코인과 네트워크 개념에 대해서 아셔야 하는데요.
네트워크 위에서 코인이 돌아가는 겁니다. 따라서, 어떤 코인을 누구에게 보내려면 상대방의 지갑 주소는 물론이고, 해당 코인이 어떤 네트워크 위에서 돌아가는 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같은 코인이라도 네트워크가 다르면 서로 다른 코인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지갑 간 코인 전송 시에 코인이 같아도 네트워크가 다르면 한참 뒤에 전송 실패가 뜨거나, 아얘 코인을 전부 잃어버릴 수 있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코인 전송 시에는 주고받는 지갑에서 서로 같은 네트워크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보내시길 바랍니다.
메타마스크에서는 그래서 여러 가지 네트워크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다시 위 사진을 봐주세요.
최상단에 폴리곤 메인넷이라고 적혀 있는 곳을 누르면 현재 자신의 메타마스크에 추가되어 있는 네트워크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처음 설치했을 때는 아마 이더리움 메인넷 하나만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계속 추가시켜줘야 합니다.
*메타마스크가 코인을 잘 받아도, 네트워크나 토큰을 추가시켜주지 않으면 토큰 목록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4) 토큰 (= 코인)
토큰이라고도 하고 코인이라고도 합니다. 같은 의미입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매틱, 등등.. 전부다 코인 혹은 토큰 이름입니다.
메타마스크에서 자기가 들고 있는 코인 목록을 보려면, 해당 네트워크를 먼저 설정하고 그다음 토큰을 추가해줘야 합니다. 토큰을 추가하는 방법은 해당 토큰의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토큰 컨트랙트 주소를 복붙 해서 추가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메타마스크에 토큰 추가 하기 네트워크 추가하기를 검색하시면 이미 많이 하는 방법들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네트워크와 토큰 추가를 수동으로 하기에 좀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추천하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여기 가시면 버튼 몇 번 클릭으로 주류의 네트워크들을 쉽고 안전하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지갑 연결하시고 원하시는 네트워크 및 토큰들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Chainlist
Helping users connect to EVM powered networks Chainlist is a list of EVM networks. Users can use the information to connect their wallets and Web3 middleware providers to the appropriate Chain ID and Network ID to connect to the correct chain. Add Your Net
chainlist.org
4. 주의사항, 바로 지갑 연결에 대한 주의사항입니다.
메타마스크를 쓰다 보면 계속 확인창이나 서명해달라고 버튼이 뜨실 겁니다. 여기에는 수수료가 얼마 인지 무슨 명목으로 사용자의 권한을 원하는지 등에 내용이 간략히 써져 있으므로 항상 잘 보시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지갑 연결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우선 공식 사이트가 아닌 그 모든 것들에 대해서는 절대로 지갑 연결 승인을 하지 마세요. 꼭 해야겠다면, 계정을 새로 파서 빈 지갑으로 연결해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확인, 승인 버튼 눌러대면 해당 지갑의 코인이나 NFT 전부 다~ 털릴 때가 반드시 올 것입니다.
블록채인 기술이 해킹에 완벽하게 보완이 된다던데 유독 아직 이 시장은 크고 작은 해킹 사례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블록채인 기술 그 자체로는 보안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코인 생태계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블록채인 기술 하나만 쓰이는 것이 아닙니다. 기존에 웹 2.0 시대에서 쓰이고 있는 기반 위에서 웹 3.0 기술들이 쓰입니다. 기존에 보안 취약점은 여기서도 계속 취약점입니다. 게다가 이 시장과 개념들이 최근에 막 생겨난 것들이기 때문에, 사용자들 자체가 다 초보자들 입니다. 하지만 해킹범들은 언제나 우리보다 더 생각을 많이 하고 한 발 더 빠르게 움직이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당해낼 수 없는 것이죠.
'코인 > 캐나다 코인 거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린이-4 선물 거래소 사용법 (비트겟 Bitget exchange) (2) | 2022.08.25 |
---|---|
코린이-3편 NFT에 대해서 알아보자 (nft 민팅하는 법) (3) | 2022.08.19 |
캐나다 코인 거래소 Newton! (Canada crypto exchange) 코린이들을 위한 코인 가이드-1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