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벌써 코인의 끝판인 선물까지 왔네요.

선물을 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이(엄청 성공하는 경우가 아니고 대충 손실보다 수익이 많은 경우) 통계적으로 1%라고 합니다... 

이 말은 그만큼 어렵다는 뜻입니다. 절대로 선물을 추천하는 글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1. 거래소 가입

2. 선물의 기본 개념

3. 선물 거래 기본 사용법

4. 마치며

 

1. 거래소 가입

우선 거래소 가입을 먼저 해야겠죠. 

한국에서는 가장 유명한 업비트라는 거래소가 있죠. 그런데 저는 업비트를 사용 안 해봐서.. 선물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대체로 보면 선물은 다들 해외 거래소를 사용하시는 것 같더군요.

 

아마 많은 분들이 환전이랑, 김치코인이나 현물 살 때만 업비트, 빗썸 등 자국 거래소를 사용하시고 선물을 할 때는 해외 거래소를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저는 해외 거래소 중에 바이낸스와 비트겟 바이빗를 사용합니다. 바이낸스와 비트겟을 번갈아 가며 주로 쓰고 있습니다. 바이빗은 다른 거래소보다 선물을 지원하는 코인이 좀 더 많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 그만큼 상대적으로 신뢰도가 낮은? 코인들도 선물로 올린다는 점이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바이빗 선물은 바이낸스와 비트겟에 없을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그러면 가입을 해야 겠죠! 가입은 반드시 추천인 코드를 통해서 해야 수수료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1. 바이낸스

https://www.binance.com/en/activity/referral-entry/CPA?fromActivityPage=true&ref=CPA_002ZPMUQ4Z 

 

Crypto Exchange Referral Program | Binance Official

 

www.binance.com

바이낸스는 지금 가입하고 50불 이상 입금하시면 100불을 드리는 이벤트?를 하는 것 같습니다. (위 링크로 가입할 시)

그런데 이런 레퍼럴 프로그램등은 자세히 알아보시고 그 조건 등을 먼저 잘 보시고 하시길 바랍니다. 그냥 100불 받을려고 가입하지는 마세요. 여러 조건 등이 있어서 아마 실제 거래를 하지 않으면 못 받는 그런 조건이 있을 겁니다.

 

2. 비트겟

https://www.bitget.com/en/welfare/register?clacCode=H8LYM8AF 

 

Better trading Better life

 

www.bitget.com

 

3. 바이빗

https://www.bybit.com/en-US/invite?ref=NOGBNP 

 

Buy & Sell Bitcoin, Ether | Cryptocurrency Exchange | Bybit

Level up your crypto trading experience. Buy, sell, trade BTC, altcoins & NFTs. Get access to the spot and futures market or stake your coins securely.

www.bybit.com

이런 레퍼럴 프로그램은 링크를 통해 가입하면 해당 추천인과 가입자에게 일부의 혜택을 주는 이벤트 등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거래소에 가입할 때는 항상 이런 추천 코드를 통해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꼭 위 링크를 통해 저의 레퍼럴 코드로 가입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저는 사실 레퍼럴 프로그램 잘 모릅니다.. 다만 대부분의 거래소가 한번 가입하면 다시 탈퇴하는 게 번거롭거나 혜택을 못 받기 때문에 처음에 가입할 때 레퍼럴 코드를 통해 가입하시게 좋습니다. 

 

 

 

 

2. 선물의 기본 개념

우선 현물의 기본 개념을 알아봅시다. 쉽게 말해서 거래소 가서 그냥 비트코인을 구매하면, 그건 비트코인 현물을 산겁니다. 현물 트레이딩으로도 돈을 벌 수 있죠. 

선물은 정확히 말하면 당장 비트코인을 매수/매도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흔히 포지션이라고 말하는데요. 이 포지션에는 롱/숏 포지션이 있습니다. 그래서 "숏들어간다, 숏친다'라는 말은 숏 포지션에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현물과 달리 포지션에 한번 들어가면 그 포지션을 종료할 때까지 계속 포지션이 유지가 됩니다. 그리고 포지션을 종료하는 순간에 비로소 차익에 따른 비실현 수익/손실 이 발생하게 되는 거죠. 

롱 포지션은 "앞으로 비트가 오를 거야"라고 생각하고 지금 미리 사서 포지션을 종료하는 순간에, 미리 산 선물을 종료 시점의 현물가 기준에 팔아 치우는 겁니다. 정말로 가격이 올랐다면 아마 수익이 있겠죠. 롱 포지션은 현물 비트를 사는 거랑 별 차이가 없습니다. 똑같이 이제 오를 거를 예상하고 사는 거니깐요. 하지만 선물에는 결정적인 개념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레버리지입니다.

솔직히 레버리지와 숏 포지션이 선물이 존재하는 이유라고 생각하는데요. 이 레버리지는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돈에 곱하기를 해서 투자를 할 수 있게 내 투자금을 뻥튀기해줍니다. 예를 들어 현재 시드머니가 100만 원 있고 10배 레버리지를 쓴다면 1000만 원으로 투자를 하는 것처럼 쓸 수 있죠. 

 

하지만 이 레버리지는 느낌적으로 아시다시피 매우 매우 위험합니다. 바로 청산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1배로 해도 선물에는 항상 청산의 개념이 있습니다.)

청산이 이뤄지는 방식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청산이란, 포지션에 들어갔을 때, 비실현 손실 금액이 본디 투자금의 원금과 같아지거나 많아질 경우, 포지션을 강제로 종료시키고 포지션에 들어갈 때 투자한 원금을 모두 거래소 쪽에서 가져가는 끔찍한 상황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0만 원 10배 롱 포지션으로 들어갔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그때 비트 가격이 1000원이라고 합니다.

10만 원을 10배 했으니 100만 원어치 비트 롱 포지션을 잡게 됩니다. 

근데 이럴 수가 비트 가격이 오를 줄 알았는데 떨어지고 있습니다. 점점 떨어지다가 -10%가 빠졌다고 칩시다. 

그럼 100만 원어치에서 똑같이 -10% 손실이 있겠죠? 그리고 100만 원의 10%는 10만 원입니다. 그럼 비실현 손실 금액이 10만 원이라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본디 원금은 10만 원이었죠? 바로 이 순간 청산이 되는 겁니다. 그럼 비트 가격이 900원이 되는 순간 내 롱포지션은 강제 청산되고 내 본디 10만 원은 거래소가 가져가게 됩니다. 즉 비실현 손실 금액이 순수 내 투자금의 액수가 되는 순간 청산이 되는 것이죠. (여기서 비실현 손실이라고 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선물 포지션은 사용자가 포지션 종료를 하지 않는 이상 진짜 손실이 아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포지션을 종료하는 그 순간! 비실현 손실 혹은 수익 금액이 진짜 손실 혹은 수익 되어 자기 계좌에 반영되는 것이죠.)

그리고 비트 가격 900원이 바로 내 현재 롱 포지션의 청산가가 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최초의 청산 가는 투자금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레버리지 배율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한마디로 청산가를 멀리 하고 싶으면 그만큼 레버리지를 안 쓰면 됩니다. 

간혹 1배 레버리지는 청산가가 없다고 생각하시는데 1배 레버리지도 선물인 이상 청산가가 있습니다. 포지션 진입 시 비트 가격에 비해 100%가 오르거나 내리면 청산입니다.

여담으로 저는 1배숏을 아주 좋아합니다. 현물을 가지고 있을때, 떨어질것 같다면, 숏을 쳐서 조금은 커버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1배숏이라도 아무때나 들어가면 안됩니다. 항상 선물은 확신이 있는 자리에서만 들어가는게 좋습니다.

 

숏 포지션은 위에서 설명한 롱 포지션의 정확히 반대 개념입니다. 단지 "나는 이제 비트 가격이 내릴 거라고 생각해" 하고 숏을 치는 거죠. 어려운 명칭으로는 "공매도"라고도 합니다. 공매도란, 있지도 않은 주식을 미리 팔아서 수익을 가져가고 나중에 주식이 떨어지면 그때 미리 샀던 그때의 가격으로 정산해서 차익을 가져가는 파생상품입니다. 

현재 자신이 가지지도 않은 주식을 미리 판다... 굉장히 발직한 생각이긴 하죠. 그래서 공매도 세력을 굉장히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공매도 세력은 나름 자신들은 주식시장에서 거품을 없애는 역할을 해준다고 주장하지만 결국은 공매도 세력이든 뭐든 다 돈 벌자고 하는 것입니다. 누가 나쁘냐 착하냐는 의미가 없어요. 하이에나들이 고라니를 사냥할 때, 착한 고라니 나쁜 고라니 구분해서 잡아먹지 않죠. 굳이 따지자면 그냥 나에게 잡혀 주는 고라니가 나에게는 착한 고라니 일 뿐입니다.

 

선물의 가장 큰 특징은 이렇게 레버리지, 청산, 숏입니다. 이 3가지 특징에 좀 더 공부를 해보시고 해 보시길 바랍니다. 분명히 앞서 말했듯이 선물로 조금이라도 돈을 버는 사람은 전체의 1%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하루 이틀 공부하고 한다고 도전해서 될만한 확률이 아닙니다. 

하물며 공부한다고 해서 이게 꼭 돈을 버는 것도 아닙니다. 거의 도박에 가깝습니다. 

 

또한 비트겟에서는 모의 선물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거기 가셔서 일단 가상 머니로 모의 선물 투자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거기서 잃으면 그냥 선물은 안 하시면 됩니다.. 그게 돈 버는 것입니다.

 

 

 

 

3. 선물 거래 기본 사용법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선물 거래소들은 usdt로 선물을 할 수 있습니다. usdt는 스테이블 코인인데요. 1 usdt가 항상 1달러의 가치를 가지게끔 유지하는 코인입니다. 그래서 흔히 그냥 달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 이러한 달러 1:1 유지하는 것을 페깅이라고 하는데, 간혹 이 페깅이 깨져서 가치가 심하게 내려가는 현상이 있습니다. 얼마 전에 있었던 루나 테라 사건이 테라 ust가 심하게 페깅이 깨져서 그와 관련된 디파이 상품들이 죄다 나락으로 갔죠... 

 

따라서 usdt를 구입하고, 해당 거래소 선물 계좌로 보내야 합니다. 대부분의 거래소들이 spot계정 와 선물 계정이 따로 있습니다. 먼저 거래소로 자산을 보낼 때는 spot으로 보내고 선물 거래소로 가서 spot계정(=현물 계정)으로 받은 usdt를 다시 선물 계정으로 transfer 하면 됩니다. 

 

이제 자신이 선물 투자를 하고 싶은 코인/usdt 페어 상품을 찾아서 선물을 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아마 BTC/udst, eth/usdt 이겠죠. 비트나 이더 아니면 그냥 하지 않는 걸 추천드립니다. 왜냐면 안그래도 코인은 변동성이 큰데 다른 알트 코인들은 더더욱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입니다. 정말로 잘하시는 분들은 알트코인으로 한몫 챙기시지만... 그건 그분들도 운입니다. 아무리 고수라 해도 운이 없으면 망합니다. 알트는 변동성이 너무 커서 청산을 매우 빠르게 당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격리/교차라는 개념에 대해서도 아셔야 할 텐데요. 포지션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이 격리/교차 인지, 혹은 지금 몇 배 수로 맞춰져 있는지 꼭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격리는 청산당했을 때 포지션 진입 시 처음 투입한 그 금액만 다 사라지는 시스템입니다.

교차는 자신의 선물 계정에 있는 모든 금액을 담보로 선물에 투입하는 겁니다. 따라서 청산이 되면 자신의 선물 계좌에 있는 모든 usdt가 사라집니다. 딱 들으면 교차가 무조건 안 좋은 것만 같지만 둘 다 서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오른쪽 상단 부분에 Cross(교차) / Isolated(격리)를 고를 수 있는 버튼이 있고, 더 오른쪽에는 레버리지 배수를 정할 수 있는 버튼이 있죠? 요 2가지를 항상 체크를 하시길 바랍니다. 코인 종목을 바꿀 때마다 바뀌니깐요. 

 

오른쪽 창 Buy Long버튼이 롱 포지션 진입입니다. Sell short 버튼이 숏 포지션 진입이고요. 반대로 포지션 종료할 때는 포지션 진입하게 되면 포지션 창에 종료 버튼이 따로 있습니다. (비트겟 기준입니다. ftx거래소 같은 거는 사용법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롱포지션에 진입 한 뒤, 종료를 하고 싶으면 같은 크기의 숏포지션에 진입하면 기존에 있던 롱포지션이 종료됩니다. 아마 초보분들은 비트겟이 좀 더 쉬우실거에요.) 

 

다음 이 2가지 개념 또한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스탑로쓰(stop loss): 자기가 들어간 포지션에 반대방향으로 가격이 오르거나 내릴 시에, 언제 손절을 치는지 예약을 거는 겁니다. 그래프가 한순간에 빔을 쏘면서 오르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포지션 진입 시에는 손절구간을 정하고 스탑로쓰를 걸고 들어가세요. 

스탑로쓰는 포지션 진입 전에 미리 정해서 들어갈 수도 있고, 포지션을 먼저 진입 후에 나중에 정할 수도 있습니다. 

테이크 프로핏(take profit): 행복한 순간이죠. 자기가 들어간 포지션대로 차트가 움직여 줄 때, 언제 수익을 실현할지 예약을 거는 겁니다. 항상 욕심 내지 마시고 적당한 구간에서 반 익절 하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4. 마치며

선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은 진짜 별로 없습니다. 정말로 자신이 확률 게임을 잘한다면, 애초에 이런 게임을 시작도 하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대부분의 리딩방이나 차트를 알려주는 곳은 무료가 아니면 쳐다도 보지 마세요. 물론 진짜 잘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대부분은 사기입니다. 

특히나 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코인들을 알트코인이라고 하는데, 알트코인들은 변동성이 더 심합니다. 정말 순식간에 청산이 이뤄지니, 항상 들어가기 전에 계산잘하시고, 손절가 수익가 꼭 정하고 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항상 좋은 자리가 올때까지 기다리는 습관을 기르세요. 지금 안 들어가면 놓친다 라는 생각하시면 더 많이 잃습니다. 기회는 언제나 오니까, 지금 못 들어가는건 애초에 내가 먹을 곳이 아니였다. 이런식으로 마인드를 잡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