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니나님 유튜브 영상을 보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니나님 유튜브 링크 : have, get, take 관련영상은 : www.youtube.com/watch?v=KptzZzq_swI&list=PLH9B8dG_2yCZHPMqgoPAt9d8uItgc1Be2&index=4

 

 

가정법 관련 링크주소는 여기입니다 : www.youtube.com/watch?v=HDVS8y4G0hk&list=PLH9B8dG_2yCZHPMqgoPAt9d8uItgc1Be2&index=6

 

이분은 제가 우연히 유튜브를 탐방하다가 찾게된 채널인데, 진짜 캐나다에서 거주하시는 현지인인데다가, 가서 영상을 보시면 알겠지만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들을 만들고 올리시는 분입니다.

 

have, get, take 에 대해서 먼저 정리해보겠습니다.

공통점으로는 다 소유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느낌과 사용처가 확연히 다릅니다.

 

Have : 제인 낮은 소유의 강도이고 달리 말해서 자기의 의지나 선택이 아닌 '상태'를 표현할 때 입니다.

예를 들어

I have a cold : 자기 의지대로 선택해서 감기에 걸린 사람은 없죠?
I have a job : 이 표현은 나 직업이 있다. 입니다. (=백수가 아니다.)

I have a son : 나 아들이 있는 사람이다. (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죠 난 자식이 있는 사람이다. )

 

 

Get : 획득하다, 얻다, 노력을 해서 취한 것입니다. 다만 온전히 나의 영향력만으로 취한게 아닌, 누구의 지시나 허락, 및 인정을 통해 얻게 되는 것들입니다.

예를 들어

I got a A on the test! : 자기 의지대로 열심히 공부를 해서 A를 받았지만, 어쨋든 그 점수는 교수님이 '인정'하에 받는 것이죠.

I got a pen VS I have a pen : get을 쓴 표현은 방금까지는 없었는데 순간적으로 펜을 주웠거나, 누구한테서 빌려왔다의 표현입니다.

반면, have를 사용한 표현은 처음부터 난 펜을 가지고 있었다 즉 펜을 들고 다니는 상태인 겁니다.

 

 

 

Take : 취하다, 택하다. 제일 높은 소유의 강도입니다. 온전히 나의 영향력으로 선택하거나, 취한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took the job : 여러개의 오퍼가 들어왔는데, 그 중에서 하나만 선택했다의 의미입니다.

I'll take this one : 쇼핑몰에 가거나 할 때 어떤 물건 중에서 하나를 고를 때 쓰는 표현입니다. 내가 사는 물건에 자신 외에 영향력이 들어가지는 않겠죠?

I'll take a walk : 걸어서 갈래 입니다. 우리가 걸어서 가든 차를 타든 그것은 온전히 나의 선택입니다.

 

 

다음은 가정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정법은

1) 가정법 과거

2) 가정법 과거 완료

3) 가정법 현재

4) 가정법 미래

4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또한 문장의 구조가 2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건절" + "주절" 입니다.

대체로 조건절에서 어떤 가정을 한 뒤에, 주절에서 현재와는 다른 결과임을 말합니다. 흔히 말하는 ~했었다면, ~일텐데 구조입니다.

 

1) 가정법 과거

현재 사실과 반대일 경우를 가정하는 경우입니다.

(If + 주어 + 과거 동사) + (주어 + 과거 조동사 + 동사원형)

If it weren't raining, we would go on picnic. : 만약 비가 안왔었다면, (지금)우린 피크닉을 갈텐데

If i studied more, I would get better grades. : 만약 공부를 더 했더라면, (지금)더 좋은 점수를 받았을 텐데

 

2) 가정법 과거 완료

과거 사실을 반대로 가정하는 경우 만약~했엇다면, 했었을텐데 조건절은 대과거이며, 주절은 현재완료 시제입니다.

(If + 주어 + had pp), (주어 + 과거 조동사 + have pp)

If it hadn't rained, we would have gone on a picnic : 만약 비가 오지 않았다면(대과거), 우린 피크닉에 갔었겠지(현재완료)

(주절 시제를 보면, 이미 다 지나간 일이라, 지금은 뭐 어찔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가정법 과거는 최소한 비가 오더라도 비를 맞고 그냥 가는 선택을 화자가 내린다면, 현재 그럴 수 있는 시제 상황인 것입니다.)

(하지만 가정법 과거 완료는 이미 다 그 시점이 지난 이후에, 말을 꺼내는 것이므로, 화자가 어찌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3) 가정법 현재

현재 상황을 가정해서 미래를 예측하는 표현입니다. 다만 조건절의 실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쓰입니다.

만약 ~한다면, ~할 것이다. 로 해석됩니다.

(If + 주어 +  현재형 동사), (주어 + will + 동사원형)

If she leaves now, I will get very angry.

(즉 위의 화자의 상황은 그녀가 떠날 확률이 높은 상황입니다.)

 

4) 가정법 미래

조건절이 일어나기 힘든 상황에서, 대체적으로 아쉬움과 같이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f + 주어 + should + 동사원형), (주어 + 조동사 + 동사원형)

(If + 주어 + would + 동사원형), (주어 + 조동사 + 동사원형) : 조건절에서 should 대신 would도 쓰입니다.

If I should become a singer, I would be very famous. : 내가 가수였다면, 진짜 인기 많았을거야.

(조건절에서 일어나기 힘든 가정을 합니다. 여기서 화자는 가수가 아니고, 가수가 될 의지나 계획도 없을 가능성이 큼니다.)

If I would meet her again, I would be happy. : 내가 그녀를 다시 만날 수만 있다면, 정말 행복할꺼야.

 

 

 

*혹시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로 적어주세요~ 아마 니나님 영상이 틀린게 아니라, 제가 잘 못 보거나, 이해했을 경우일겁니다.

 

 

 

 

 

반응형
반응형

Make a one-time payment by withdrawal from your bank account directly from MyHydro.

 

e-mail로 요금서가 나왔다고 알려줍니다. 그리고 저렇게 설명을 해주죠.

 

다만 저 문장이 짧아도 구조가 이해가 되지 않아서 한 번 공부를 해보죠

 

일단 직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yHydro에서 직접 은행 계좌에서 인출하여 일회성 결제를하십시오."

 

저는 from 이 두 번 쓰였다는 것에 이해가 잘 안됐어요.  from your bank account, from MyHydro

근데 이게 직역의 뜻을 보고나면 저 둘의 from은 서로 의미적으로 상관이 없는 부분이죠. 

payment by withdrawal from your bank account 에서  단순히 내 통장계좌 로부터~ 인출이라는 의미의 from 입니다. 

인출을 해서 지불해라라는 뜻인데, 여기서 인출의 대상이 from you bank accout인거죠. 그냥 머릿속으로 한 번 이해했다면 당연한 뜻 풀이 입니다. 

 

그리고 from MyHydro는  ~에서 무엇을 해라 라는 의미로 쓰인 겁니다. 

여기서 MyHydro 는 밴쿠버시의 전기회사 이름이 BC Hydro 인데, 여기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해보면 그 안에 있는 기능입니다. 대충 자기 회원정보와 이번달 전기사용 현황을 볼 수 있는 페이지죠. 

그러니 온라인에서 저기로 가서 MyHydro에서 어떤어떤 방법을 통해 지불해라 라는 뜻이 됩니다. 여기서 어떤어떤 방법은 바로 

"a one-time payment by withdrawal" 인 것이죠. 

 

중요 표현

Make payment : 결제하기

Payment by withdrawal : 인출을 통한 지불

Payment by ~ :  ~결제 수단을 통한 지불

 

 

 

그리고 또 다음 표현을 봅시다. 

 

Your bill is ready

Your bill for 주소지 is ready.

Your bill amount of $77.00 is due by Jan 21, 2021.

 

첫번째 문장은 그냥 당신의 요금서가 준비되었습니다. 나왔습니다. 라는 뜻이고

두 번째 문장은 for 만 들어가서 그 요금서가 어디 주소지에 대한 요금서인지 꾸며주는 역할을 하네요.

 

세 번째 문장에서 due에 관해서 찾아보니 여러가지로 쓰임새가 있더군요. 이거는 그냥 날 잡고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일단 여기서는  ~ is due by ~ 로 쓰였는데 언제까지 지불해야한다는 상환일을 의미합니다. 

 

재밌는 점은 

~ is due on ~ 해당 날짜에 지불해야한다는 뜻이고

~ is due by ~ 은 해당 날짜까지 지불해야 한다는 뜻이 됩니다. 

전치사 하나 차이로 의미가 달라지네요.

 

due의 어원이 빚지다라는 동사의 owe이고, 원래 그래서 due의 어원은 동사인데, 이제 due는 동사로 취급되지 않고 형용사로서 쓰인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문법적으로 파고들면 복잡한 부분이 있네요. 나중에 정리해서 올려보겠습니다. 

반응형

'영어 공부 >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에서 이메일 쓰는 법  (0) 2021.07.10
Have + p.p, Have + been + p.p, Has + been + p.p  (0) 2021.01.04
BC Services Card Statement of Declaration  (0) 2021.01.04
Pizza Hut Survey  (0) 2021.01.04
반응형

현재완료

have + 과거분사 

I have lost my key! : 나 키 잃어버렸어 (언제인지 모르겠는데 암튼 잃어버려서 지금 없어)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키를 언제 잃어 버렸는지가 중요한게 아니라, 과거 어느 시점에 잃어버렸고, 그래서 지금 키가 없다.

'지금 키가 없다' 가 포인트입니다. 즉 과거 어떤 사건 때문에, 현재의 어떤 결과나 상황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현재완료입니다.

따라서 키를 언제 잃어버렸는지가 말하고 싶은게 아니라, 키를 과거에 잃어버려서, '지금 키가 없다' 를 말하고 싶은 것이지요.

 

 

현재완료 수동태

have been + 과거분사 

수동태 문법도 느낌은 현재완료와 같습니다. 

다만 수동태의 특성상 주어가 주체적으로 행위를 하는게 아니라, 행위를 받는 것이죠.

 

그리고 주의할 점은 been이 있다고 현재완료진행형 시제와 햇갈리시면 안됩니다. 

현재완료진행은 have been + ~ing 형태 입니다. 

 

has been p.p 는 단지 수동테의 3인칭 단수 형태입니다. 

다들 알고는 있지만, 항상 복습을 하지 않으면 바로바로 해석이 안됩니다. 

 

has been + ~ing >>> 현재 완료 진행형 3인칭 단수

has been + p.p   >>> 현재 완료 수동테 3인칭 단수 

햇갈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It has been deleted >> 어떻게 해석해야 될까요? 

삭제되었습니다. 의 의미라는 것은 알지만, 어떤 느낌인지도 알아야합니다. 

당신이 방금 막 파일을 지우면 컴퓨터에서 이렇게 나옵니다. 

It has been deleted!

그러니깐 방금 삭제되었다. 짦은시간의 '방금' 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been이 들어가는 표현 중 어디어디를 가본적이 있냐고 물어볼 때 쓰기도 합니다.

I have been to korea           >>> 나 한국에 가본적 있어(여태것 살면서)

Have you been to canada? >>> 너 한국에 가본적 있니?(지금까지 네 인생에서)

 

너에게 어떤 경험이 있느냐 혹은 나 이런 경험이 있다 라고 표현할 때

I've seen the women!          >>> 나 그 여자 본적 있어! 

Have you heard of bitcoin? >>> 너 비트코인 들어본적 있어?

 

 

 

 

 

 

 

 

 

 

 

 

 

 

 

 

 

반응형

'영어 공부 >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에서 이메일 쓰는 법  (0) 2021.07.10
밴쿠버 전기 고지서 내기  (0) 2021.01.06
BC Services Card Statement of Declaration  (0) 2021.01.04
Pizza Hut Survey  (0) 2021.01.04
반응형

오늘 ICBC에 가서 면허증을 교환받았습니다.

 

특이하게 여기는 의료보험을 가입한 후, 내 번호가 있으면 그걸 내 운전면허증 뒤에 같이 입력해서 운전면허증&의료보험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더군요. 

 

아직 MSP 신청( 의료보험 신청 )이 완료되지 않아서 같이 통합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그와 관련된 정보가 담긴 문서를 주더군요. 

당연히 다 영어입니다. 

 

제가 곰곰히 생각해보니 캐나다에서 살다보면 어쩔 수 없이 봐야하는게 '문서상의 영어' 인데 그냥 다른 영어교제를 찾지 말고 캐나다에 살고 있으니 그냥 영어공부와 실행활을 통일시키면 어떨까? 하는 마음에 글을 씁니다.

 

 

INCOMPLETE

Please contact HIBC (see below) or Service BC and have your Personal Health Number or client number ready. 

 

 

번역 : 

불완전한

HIBC (아래 참조) 또는 Service BC에 연락하여 개인 건강 번호 또는 고객 번호를 준비하십시오.

 

 

저는 have를 만났을 때 이상했습니다. 하도 have가 자주 등장해서 그냥 동사의 의미로 쓰인 간단한 have 였는데, 햇갈리더군요. 그래서 해석이 잘 안됐어요. 

 

그냥 동사가 먼저 나왔으니, 명령조이겠쬬.

Have your Personal Health Number  >>  가지고 있어라 너의 개인 건강 번호를  >> ~를 준비해라의 의미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그냥 이렇게 끝나긴 좀 너무 짧으니 이 글의 제목도 한 번 보겠습니다.

BC Services Card Statement of Declaration

직역하면 간단히 "BC 서비스 카드 선언문" 입니다.

 

Statement : 성명서

Statement of : ~에 대한 진술

Declaration : 선언 (발음 주의 : 데클레이션)

이게 합쳐져서 다음이 되는 군요!

Statement of Declaration : 선언문

 

참고로 서비스 카드는 우리나라의 대충 우리나라의 민증같은거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하지만 중요도는 우리나라의 민증만큼 높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저것보다는 Medical Service Plan이 더 중요한데요. 우리나라로 치면 의료보험입니다. MSP가 있어야 캐나다에서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반응형

'영어 공부 >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에서 이메일 쓰는 법  (0) 2021.07.10
밴쿠버 전기 고지서 내기  (0) 2021.01.06
Have + p.p, Have + been + p.p, Has + been + p.p  (0) 2021.01.04
Pizza Hut Survey  (0) 2021.01.04
반응형

피자를 시켜먹었더니 이메일로 뭔가 날라오더군요.

참고로 캐나다에선 이메일로 전기요금도 내고 이메일로 은행을 통해 돈도 보내고, 회원가입도 대부분 이메일로 아이디로 하고, 이메일이 굉장히 많이 쓰입니다. 

 

피자헛에서 보낸 설문조사였는데, 저는 아직 영어초보라 그런지 바로바로 이해가 안되더군요. 그래서 저 나름대로 공부하면서 표현법을 뽑아봤습니다.

 

What was your order type?

-Delivery

-Contactless Delivery

 

How did you order?

-Pizza Hut mobile app

-Pizza Hut website

-Over the phone

 

Let us know how satisfied you were with...

Overall, how satisfied were you with this Pizza Hut experience?

-Highly Satisfired

-Satisfied

-Neither Satisfied nor Dissatisfied

-Dissatisfied 

-Highly Dissatisfied

 

Let us know how satisfied you were with...

How well the employees followed hygiene and sanitation practices. If you did not notice, select N/A.

-Highly Satisfired

-Satisfied

-Neither Satisfied nor Dissatisfied

-Dissatisfied 

-Highly Dissatisfied

 

 

표현1 ) 

I am satisfied with ~ 

나는 ~에 만족했다. 

 

표현2)

How satisfied you ware with ~ 

~에 얼마나 만족했나요?

 

표현3)

Let us know ~ 

우리에게 ~를 알게 해주세요.

 

표현4)

How well ~ 

얼마나 잘 ~ 했는지?

 

표현5)

If you did not notice

만약 못 느꼈다면, (신경안썼다면)

 

 

반응형
반응형

출처 : www.youtube.com/channel/UC4mwb_zNaIFpnOVOaj_N96g 

 

Nina's Life School니나

한국계 캐내디언이 들려주는 캐나다문화와 실상 영어 ❤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nnlifeschool/ ❤ business email : nnlifeschool@gmail.com

www.youtube.com

요즘 위 유튜버님 영상을 보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엄청 유용한 영어 꿀팁들이 많으니 영어에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가서 보세요. 정말 내용이 참 실용적인게 많은 것 같아서 좋아요. 게다가 유튜버님이 캐나다에서 거주하시고 배웠던 분이라 신뢰도 갑니다.

앞으로는 이 니나님 영상을 보면서 주로 영상을 정리한 내용으로 영어관련 포스팅을 할 듯 싶습니다. 

 

과거에 대해 후회하는 표현들? 입니다. 

 

먼저 축약 표현에 대해서 확실히 집고 넘어가 봅시다.

would have + p.p >> would've + p.p

could have + p.p >> could've + p.p

should have + p.p >> should've + p.p

 

다 비슷한 후회를 의미하는 표현이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would've + p.p  >>  ~했었더라면, ~했었을 텐데(약간 미래의 결과까지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법이랑 많이 같이 쓰임)

could've + p.p   >>  ~할 수 있었는데, 괜히 안했네...(약간 후회의 강도도 약하면서, 내가 하자면 할수도 있었는데, 하지않아서 후회) 

should've + p.p >>  ~와 이거 했어야했는데.. (좀 더 강력한 후회)

 

발음과 듣기를 위해 축약시 발음까지 보고 예시문장으로 넘어갑시다.

 

would have >> would've >> 우르브    >> 더더 축약된 발음( 친한 친구들끼리, 격식없는 자리) >> woulda (우라)

could have >> could've >> 쿠르브.     >> 더더 축약된 발음( 친한 친구들끼리, 격식없는 자리) >> coulda (쿠라)

should have >>  should've >> 슈르브 >> 더더 축약된 발음( 친한 친구들끼리, 격식없는 자리) >> shoulda (슈라)

 

 

would've + p.p 가 들어간 예시 문장

가정법 (if 절 사용)

I would've finished work

if you had said me that 'you have to finish until today'

(일을 빨리 끝냈을 것이다. 너가 '오늘까지 끝내야해' 라고 말해줬었다라면)

 

가정법 (if 절 사용없이 쓸 경우)

I would've finished work 

(나라면, 일을 끝냈을 것이다.)

 

 

 

 

could've + p.p 가 들어간 예시 문장

~할 수 있었지만 하지 않았다. (약한 후회)

Yesterday, I could've drunk all beer on the table, but I was so full. 

(어제 내가 그 식탁위에 있던 맥주들 다 마실 수 있었어 하지만 배가 너무 불렀어) 

 

상대에게 너 ~할 수 있었잖아 (왜 안했니? 살짝 비꼬는 말투)

You could've eaten any food, I saw you drink only water 2L 

(너는 어떤 음식이든 먹을 수 있었어, 내가 너 물만 2L 마시는거 봤어)

 

 

 

 

should've + p.p 가 들어간 예시 문장

내 스스로에게, 강한 후회성 말투

I should've drunk more beer and became a dog.

(술을 더 많이 마셔서 그냥 개가 됐어야했어.)

 

상대에게, 너 ~ 했어야 했어 라고 말할때

You shouldn't have drunk beer, now I also become awkward with her.

(너는 술을 마시면 안됐어, 나도 그 여자애랑 어색하게 됐잖아)

 

You should've gone to home earlier

(너는 집에 일찍 갔어야 했어.)

 

 

 

 

 

*아직 배우는 학생입니다. 틀린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